금융16 [금융 공부하기] 엔 캐리 트레이드의 배경과 청산에 따른 영향 '트럼프 2.0 시대(박종훈)'을 읽던 중, 엔 캐리 트레이드라는 용어를 알게 되었다. 대략적으로 무슨 말인지는 알지만, 엔 캐리 트레이드가 발생하게 된 배경과 현재 일본의 금리 인상과 트럼프 정부의 기본 금리 인하 압박에 따른 금리 격차의 축소가 엔 캐리 트레이드에 어떤 영향을 끼칠 것인지, 그리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추세가 한, 미, 일 경제에 끼치는 영향을 공부해 보고자 해당 글을 작성하게 되었다. 1. 엔 캐리 트레이드(Yen Carry Trade)의 정의와 발생 배경 엔 캐리 트레이드는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일본의 엔화를 차입하여 달러 자산과 같이 금리가 높은 곳에 투자하여 수익을 올리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엔 캐리 트레이드의 주된 원인이 드러나는데, 바로 지속적인 저성장에 따른 일본과 .. 2025. 2. 15. [경제금융용어] 14일차_간접세/직접세 1. 간접세(Indirect Tax)/직접세(Direct Tax)란? 조세는 납세의무자와 실제로 세금을 부담하게 되는 조세부담자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간접세(Indirect Tax)와 직접세(Direct Tax)로 구분된다. 납세의무자와 조세부담자가 일치하여 조세부담이 전가되지 않는 조세를 직접세라고 하고, 소득세, 법인세, 상속세, 증여세, 종합부동산세 등이 있다. 이와 달리 납세의무자와 조세부담자가 일치하지 않고 조세 부담이 타인에게 전가되는 조세를 간접세라고 하며, 부가가치세(VAT), 개별소비세, 주세, 인지세, 증권거래세 등이 있다. 2. 간접세와 직접세의 특징 직접세의 특징 납세자의 소득●재산 규모를 직접 파악할 수 있다 → 납세 능력에 따라 누진세율을 적용하기 쉽다 소득이 높을 수록.. 2025. 2. 8. [ETF] 커버드콜(Covered Call) ETF 1. 먼저 알아보자! 옵션(Option)이란? 옵션(Option)이란 '특정 기초자산(주식, 지수, ETF 등)을 미래 일정 시점(만기일)에 일정 가격(행사가격)으로 매수 또는 매도할 권리'를 의미한다. 옵션은 크게 콜옵션(Call Option), 풋옵션(Put Option)으로 나눠진다. 다음의 설명을 통해 콜옵션과 풋옵션의 차이를 알아보자. 콜옵션(Call Option)기초자산을 특정 시점(만기)에 미리 정해둔 가격(행사가격, 스트라이크)에 '살 수 있는' 권리콜옵션 매수자(Long Call): 옵션 프리미엄을 지불하고 해당 권리를 얻으며, 주가가 오를 때 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콜옵션 매도자(Short Call): 옵션 매수자로부터 프리미엄을 받고 해당 권리를 '팔아주는' 입장, 주가가 크게 오르면 .. 2025. 1. 27. [ETF] 배당주(주식 기반) ETF ** 해당 포스팅은 '나는 미국 월배당 ETF로 40대에 은퇴한다(최영민)'를 읽고 개인적인 공부용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배당주 ETF란? 배당주 ETF는 이름 그대로 배당금을 지급하는 주식으로 포트폴리오가 구성된 ETF를 의미한다. 주로 안정적으로 배당을 지급하는 우량배당주를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기 때문에 배당수익률은 상대적으로 낮으나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추구할 때 유리하다(배당수익률보다 배당성장률을 보고 투자). 당장의 현금흐름이 필요하지 않고, 은퇴까지 시간이 많이 남아있는 20-30대의 경우 매달 지급되는 배당을 재투자해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다(배당 재투자 용이). 투자 포트폴리오가 어떤 종목을 중심으로 구성됐냐에 따라 시장 상황이 달라질 경우 배당금이 상.. 2025. 1. 25. [경제금융용어] 13일차_간접금융/직접금융 1. 간접금융(Indirect Financing)/직접금융(Direct Financing)이란? 경제에는 자산을 증대하기 위해 금융기관에 보유한 자금을 예치하는 개인과 같은 자금잉여주체(surplus unit)과 공장을 증설하기 위해 은행에서 대출을 받는 기업과 같은 자금부족주체(deficit unit)이 존재한다. 이들 사이에서 은행이나 신용협동기구 등 금융기관이 개입하여 자금을 중계하는 방식을 간접금융(indirect financing)이라고 하고, 자금수요자(=자금부족주체)가 금융기관을 통하지 않고 자금공급자(=자금잉여주체)로부터 직접 조달하는 방식을 직접금융(direct financing)이라고 한다. 예를 들자면, 간접금융은 은행이 개인으로부터 예금을 받아 이를 대출과 같은 형태로 기업에 공급해.. 2025. 1. 21. [경제금융용어] 12일차_가상통화공개(ICO) 1. 가상통화공개(Initial Coin Offering)란? 가상통화공개(ICO; Initial Coin Offering)는 스타트업이나 새로운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암호화폐(Cryprocurrency) 또는 디지털 토큰(Digital Token, 일종의 투자 증명)을 이용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크라우드펀딩(Croud Funding)*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기존의 기업공개(IPO; Initial Public Offering)과 유사하지만, 주식을 발행하는 대신 암호화폐를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한다는 것이다. 가상통화공개에서 새로 발행된 암호화폐는 법화(법정통화, legal tender)* 또는 비트코인 등의 기존의 가상화폐와 교환되어 투자자에게 팔린다. 해당 암호화폐는 해당 기업이 제안한 프로젝트의 성공 .. 2025. 1. 20.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