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16 [경제금융용어] 11일차_가상통화(Virtual Currency) 1. 가상통화(Virtual Currency)란? 기존 가상통화의 개념은 싸이월드의 '도토리'와 같이 특별한 법적 근거 없이 민간 기업이 발행하고, 인터넷 공간에서 사용되는 사이버머니등을 가상통화로 통칭하였다. 하지만 2008년 비트코인의 등장 이후, 가상통화 또는 가상화폐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여 발행, 유통되는 '가치의 전자적 표시(digital of value)'라는 의미를 띄게 되었다. 기존의 가상통화와 비트코인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중앙운영기관 없이 P2P(peer-to-peer) 거래가 가능한 분산형 시스템을 통해 발행, 유통된다는 점에서 큰 차이점을 보인다. 최근 IMF 등의 국제기구에서는 비트코인류의 가상통화를 암호화폐(Cryptocurrency)로 부르면서 종래의 가상통화의 .. 2025. 1. 18. [경제금융용어] 10일차_가산금리(Spread) 1. 가산금리(Spread)란? 가산금리란 기준금리에 대출자의 신용도, 담보 여부 등에 따라 달리 덧붙이는 금리를 의미하며, spread 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은행이 대출 금리를 결정할 때, 고객의 신용 위험에 따라 조달금리*에 추가하는 금리가 있다. 통상 신용도와 가산금리는 반비례한다. 한편, 기간 가상금리(term spread)는 만기가 길어지면 추가로 가산되는 금리를 의미하며, 일종의 스프레드이다(만기가 길어진다 => 못 갚을 위험도 증가). 한편 채권 시장에서는 비교 대상이 되는 금융상품의 기준금리에 대비한 차이를 스프레드라고 한다. 보통 해외에서 채권 발급 시 동일한 만기의 미국 국채(treasury bond) 또는 LIBOR(런던은행간금리)*가 기준금리가 되고, 여기에 신용도 등에 따.. 2025. 1. 17. [경제금융용어] 9일차_가변예치의무제도 1. 가변예치의무제도란? 가변예치의무제도란 외국 자본의 급격한 유입이나 유출로 발생할 수 있는 경제 불안정을 방지하기 위해, 외국에서 유입되는 자금의 일정 비율을 중앙은행이나 **외국환평형기금에 일정기간 예치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이다. 한국의 경우 외국환거래법에 근거하여 기획부장관에 의해 시행되며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운영 방식에 대한 설명에서 다루겠다. "유입되는 외국 자본의 일정 비율을 의무적으로 예치하도록 하여 자본 유입 규모를 조정하고, 일정 기간 동안 예치하도록 규정함으로써 단기적인 자본 유출을 방지한다." 2. 국경 간 자본 유출입의 영향 가변예치의무제도가 정확히 왜 필요한지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국경 간 자본 유출입의 영향에 대해 알아야 한다. 외국 자본의 유입은 시장의 유동성을 증가.. 2025. 1. 15. [경제금융용어] 8일차_가동률 1. 가동률이란? 가동률이란 사업체가 정상적인 설비, 인력, 조업 시간 등 조업 환경 하에서 정상적으로 생산할 때 최대 생산 가능량 대비 실제 생산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쉽게 말해서 생산 설비가 어느 정도 가동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예를 들면, 한 달에 최대 1,000개의 가구를 만들 수 있는 공장에서 한 달에 실제로 800개의 가구가 만들어졌다면, 해당 공장의 가동률은 80%이다.가동률(%) = (실제 생산량 / 최대 가능 생산량) * 100 다만, 가동률은 사업체의 공급 능력과 설비 가동의 절대 수준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가동률은 기준년도의 생산량과 가동률을 100으로 하였을 때, 비교 년도의 공급 능력과 가동 상태가 어느 수준인가를 나타낸다. 따라서 가동률은 설비 활용의 상.. 2025. 1. 14. [경제금융용어] 7일차_가교은행 1. 가교은행이란? 청산 대상(파산 또는 심각한 경영난을 겪는) 금융 기관의 자산, 부채를 임시로 넘겨받아 예금, 출금 등의 업무를 임시로 인수하여 운영하는 한시적 기관(은행)이다. 금융 기관이 파산한 경우 예금보험제도는 청산, 매각, 자산부채승계, 가교은행을 통한 인수 등의 수단을 통해 부실 금융 기관을 처리한다. 이중 가교은행을 통한 인수는 파산 은행 처리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될 때 사용되는 방법으로 금융 시스템의 혼란을 최소화하고, 예금자와 채권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이다. 2. 가교은행의 주요 역할1) 예금 및 출금 업무 대행파산한 금융기관의 자산과 부채를 인수하여 예금자들이 계속해서 예금, 출금 등의 기본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2) 후속 조치 수행합병,.. 2025. 1. 13. [경제금융용어] 5일차_가계처분가능소득(PDI; Personal Disposable Income) 1. 가계처분가능소득(PDI)이란? 가계처분가능소득(PDI; Personal Disposable Income)은 소득 중에서 세금과 사회보험료 등을 공제한 후, 실제로 소비나 저축에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을 의미한다. 흔히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파악해볼 수 있는 지표로 1인당 GNI(국민총소득)가 널리 쓰이고 있으나 국민총소득에는 가계 뿐 아니라 기업, 금융기관, 정부가 벌어들인 소득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기업과 금융기관 등이 가계부문보다 더 많은 소득을 벌어 1인당 GNI(국민총소득)이 높아진 경우에는 가계가 느끼는 체감 경기는 전체 경기와 괴리가 있게 된다.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 Personal Gross Disposable Income)은 가계부문의 총처분가능소득을 연앙인구로 .. 2025. 1. 10.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