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16

[쉘 스크립트] 변수, Quoating, Redirection, Pipeline **해당 포스트는 Ubunto 22.04와 xShell을 기반으로 진행한 포스팅입니다.  1. 로컬 변수와 환경 변수 설정 로컬 변수(Local Variable) - 소문자로 표기: 현재 셸 세션에서만 사용되는 변수로, 새로 셸을 실행시킨 후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root@ubunto:~# var1="hello" // 로컬 변수 선언root@ubunto:~# echo var1 // 로컬 변수 호출helloroot@ubunto:~# bash //새로운 shell 실행 root@ubunto:~# echo var1 // 실행 불가 환경 변수(Environment Variable) - 대문자로 표기: 운영 체제나 시스템의 실행 환경에서 설정된 변수로, 시스템이나 세션 전체에서 접근이 가능하며, 새로 셸을 실.. 2024. 11. 15.
[Linux] e-mail(Mail Server) 우리가 사용하는 이메일의 체계는 겉보기엔 단순해보이지만, 세부적으로 보면 여러 메일 서버 구성 주체들과 프로토콜들의 상호 작용으로 운영되는 상당히 복잡한 체계를 가지고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메일 체계의 구성 및 통신 과정에 대해 설명해보려한다.  1. 이메일 통신 과정 이메일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수신자에게 도착하게 된다. 아래의 설명을 참고하여 대략적인 과정을 파악하도록 하자. 메일 서버 구성 요소와 관련 프로토콜들에 대해서는 추후 더 자세히 다룰 예정이다.  1) 다른 도메인끼리의 메일 전송 과정  발신 이메일: pororo@naver.com수신 이메일: crong@daum.net 1. pororo는 MUA를 이용하여 메일을 작성하고, naver.com 도메인의 MTA(보내는 메일 서버)로.. 2024. 10. 9.
[Linux] FTP 1. 파일 전송 서비스/프로토콜: FTP(File Transfer Protocol)FTP(File Transfer Protocol)은 인터넷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표준 네트워크 프로토콜이자 서비스이다. 하지만 FTP를 이용해서 파일을 다운받아 본 사용자는 거의 없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FTP는 개발자, 엔지니어들이 서버 운영을 위한 목적으로 파일을 업로드/다운로드 할 때 많이 사용하며, 큰 파일이나 많은 파일을 안정적으로 빠르게 업로드/다운로드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FTP는 TCP 20, 21번 포트를 이용한 평문 통신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통신 방식에 따라서 랜덤 포트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뒤에 FTP의 동작 방식과 관련한 부분에서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다).. 2024. 10. 7.
[Linux] DNS part 2 1. 네임 서버 이중화/다중화와 영역 전송(Zone Transfer)  cmd(명령 프롬프트) 창을 열어 다음과 같이 구글 도메인(google.com)의 권한 있는 네임서버(Authoritative NS)를 검색해 보면 이러한 결과가 나온다. 왜 네임 서버를 여러 개 두는 걸까? 반대로 만약 네임 서버가 한 대만 있다고 가정해 보자. 그런 상황에서 해당 서버에 오류가 발생하여 다운된다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도메인 네임을 이용하여 구글 사이트에 접속하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다. URL에 구글 웹 서비스 서버의 IP 주소를 입력하여 직접 들어가는 것은 가능하겠지만, 이러한 방법을 모르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에게는 인터넷 서비스가 마비된 것처럼 보일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여 고가용성(High Availab.. 2024. 10. 3.
[Linux] DNS part 1 1. DNS(Domain Name Service)란?우리가 Google 웹 사이트에 접속한다고 생각해 보자. 거의 모든 사람이 www.google.com으로 접속하지 172.217.160.78이나 142.250.74.14(Google 웹 서버의 IP 주소)를 입력해서 접속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때  www.goole.com과 같이 IP주소를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방식으로 대신한 방법이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이다. 또한 도메인 네임을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것을 이름 해석(name resolution)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해주는 컴퓨터(또는 서버)가 DNS(Domain Name System) 서버(Linux에서는 Name Server라고 한다)이다.  그렇다면 DNS 서버가 없었을 때.. 2024. 10. 1.
[Linux] 원격 관리 서비스(Telnet, SSH) 한 가지 상황을 가정해보자, 만약, 사내에 리눅스 관리자가 나 한 명 뿐인데, 내가 휴가를 가야하는 상황이라면 어떻게 할까? 휴가를 포기하는 과감한 결정을 내려야 할까? 이런 상황에서 우리의 황금같은 휴가를 지켜줄 수 있는 방법이 원격 관리 서비스(Telnet, SSH, RDP..)이다.   1. Telnet Telnet은 CUI(CLI)와 평문 통신 기반의 원격 관리 서비스(프로토콜도 Telnet)이다. 여기서 평문(plain text) 통신이란 통신 과정이 암호화되지 않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Telnet은 보안이 중요한 환경에서는 부적절하다(이러한 이유로 요즘은 SSH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Telnet은 기본 통신 포트로 TCP 23번을 사용하며, Telnet을 통해 서버, 네트워크 장비(라우.. 2024. 9.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