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16

[Linux] 파일 시스템, 마운트 저번 포스트에 이어 리눅스에서 저장 장치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개념인 파일 시스템과 마운트에 대해 설명하겠다.  1. OS에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파일 시스템(File System)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은 운영체제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체계로, 저장 장치(HDD, SSD..)에 파일이라는 단위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배치하여 사용자가 데이터에 쉽게 접근 및 수정할 수 있게 해준다. 쉽게 말해, 어떤 물건을 어떤 캐비넷에 넣을지, 해당 캐비넷은 어떤 방에 둘지 정리 방법을 정하는 것(계층적)과 유사하다. 파일 시스템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파일 시스템 종류1) EXT(Extended File System) - EXT4리눅스에서 주로 사용되는 저널링 파일 시스템이다(RHEL 6까지.. 2024. 9. 25.
[Linux] 저장소(Storage)관리 1. 저장소의 종류 자기 저장 장치 magnetic, 자기적 성질을 이용해 저장HDD(Hard Disk Drive)Tape Drive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flash, 전기적 방식으로 저장 SSD(Solid State Memory)USB Thumb Drive(USB memory)광학 저장 장치optical, 레이저 광을 이용해 저장CD/DVD/BlueRay  2. 하드 디스크의 물리적/논리적 구조 1) HDD의 물리적 구조 스핀들(회전축, Spindle moter)플래터를 일정하 속도로 회전시킨다(속도가 변하면 데이터를 읽고 쓰기 어렵다)노트북용: 5400rpm, 일반PC용: 7200rpm, 서버용: 10000rpm/15000rpm..디스크(Disk), 플래터(Platter)자력을 이용하여.. 2024. 9. 24.
[Linux] init? runlevel? target? 리눅스 기초 명령어에 관한 포스트를 보다보면 콘솔을 종료할 때 사용하는 init 0, 재부팅할 때 사용하는 init 6과 같은 명령어를 볼 수 있다. 과연 init이란 무엇일까? init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runlevel에 대해 알아야 한다.   runlevel은 시스템이 부팅된 후 운영 상태(ex. 종료 상태, 재부팅 상태,  CUI..)를 의미한다. runlevel은 7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다음과 같다. runlevel상태 비고0Power off, 종료 모드 1Rescue, 시스템 복구 모드(단일 사용자 모드) 2Multi-User사용하지 않음3 Multi-User  4 Multi-User 사용하지 않음5Graphical, GUI 다중 사용자 모드 6Reboot, 재부팅  initd(init d.. 2024. 9. 23.
[Linux] 작업 예약 명령어: cron 한 회사의 서버 엔지니어가 되어 직원들이 출근하기 전인 오전 5시에 백업을 해야한다고 생각해보자. 하루 이틀 정도는 일찍 출근할 수 있겠지만 매일 해야 한다고 생각하면 정말 워라벨은 꿈도 꿀 수 없는 일이 따로 없을 것이다. 이러한 고통을 해소시켜줄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바로 cron이다. cron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시스템 작업을 예약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주로 데몬인 crond, 설정 파일인 /etc/crontab을 이용해서 사용한다. *데몬(daemon): 백그라운드에서 항상 서비스를 제공중인 소프트웨어 작업 예약 관리 명령어 vi /etc/crontab/etc/crontab: 관리자(root)가 시스템 관리를 목적으로 설정한 예약 내용이 등록되는 곳 (시스템 전역에 영향) 임의의 사용자를 지정하여.. 2024. 9. 21.
[Linux] DHCP 1. 자동으로 네트워크 설정을 관리해주는 프로토콜, DHCP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은 자신의 네트워크 안에 있는 컴퓨터가 부팅될 때, 자동으로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DNS 주소, 게이트웨이 주소를 할당해주는 프로토콜이다. 이 DHCP 덕분에 우리는 IP,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등에 대해 세세하게 알지 못하지만, 큰 어려움 없이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또한 DHCP는 정적(Static)으로 IP를 부여했을 때와 다르게,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해당 컴퓨터에 부여되었던 IP를 다른 곳에 사용할 수 있어, 적은 개수의 IP 주소로도 여러 명이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주로 공인 IP에서 유용).  DHCP는 UDP를 전.. 2024. 9. 21.
[Linux] 도대체 프로세스가 뭐야?(프로세스 관리 명령어) 1. 프로그램과 프로세스란? 프로그램과 프로세스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먼저 프로그램은 "저장 장치(storage, HDD, SSD)에 저장되어 있는, 실행되지 않은 정적인 실행 파일"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메모리(Main Memory, RAM)에 올라오면 동적인 상태의 프로세스가 된다고 볼 수 있다.  2. 프로세스의 상태(State)Ready 프로세스가 모든 자원을 가지고, 실행 준비를 마친 상태. 아직 CPU에서 실행되지 않고, 준비큐에서 실행을 기다리는 단계Dispatch (Ready => Running) 스케줄러에 의해 선택된 준비큐 맨 앞에 있는 프로세스에게 프로세서를 할당하는 것 Interrupt (=time out) (Running => Ready)예외, 입출력, .. 2024.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