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계부실위험지수(HDRI)의 정의
가구의 소득 흐름은 물론 금융 및 실물 자산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평가하는 지표로, 가계의 채무상황능력을 소득 측면에서 평가하는 원리금 상환비율(DSR: Debt Service Ratio)과 자산 측면에서 평가하는 부채/자산비율(DTA: Debt To Asset Tatio)을 결합하여 산출한 지수이다. 가계부실위험지수는 가구의 DSR과 DTA가 각각 40%일 때, 100%일 때, 100의 값을 갖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동 지수가 100을 초과하는 가구를 '위험 가구'로 분류한다. 위험 가구는 소득 및 자산 측면에서 모두 취약한 '고 위험 가구', 자산 측면에서 취약한 '고 DTA 가구', 소득 측면에서 취약한 '고 DSR 가구'로 구분할 수 있다. 다만 위험 및 고위험 가구는 가구의 채무상환능력 취약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이며, 이들 가구가 당장 채무상황 불이행, 즉 임계 상황에 직면한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원리금 상환액이 처분 가능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총부채가 보유자산 대비 얼마나 많은지를 계산한 지수"
2. DSR과 DTA?
1) DSR : "한 달에 버는 돈 중 얼마를 빚을 갚는데 사용해야 하는가?"
- ex) 월급이 1000만원일 때, 400만원을 대출 이자 및 원금을 상환하는데 사용해야 한다면? => 40%
2) DTA : "현재 내가 가진 자산으로 빚을 다 갚을 수 있는가?"
- ex) 가계 총 자산이 1000만원일 때, 총 부채가 2000만원이라면? => 200%
3. 왜 HDRI를 산정하는 것일까?
1. 가계 부채 위험 관리
: 부실 위험이 높은 가계가 늘어날 경우 금융 시스템의 위기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이를 조기에 파악한다.
2. 정책 결정의 근거 제공
: 금융 정책, 금리 조정, 가계 부채 관리 방안 등 정책 수립 시 유용한 데이터로 활용된다.
3. 경제 안정성 분석
: 가계의 채무 상환 능력과 금융 리스크 간의 관계를 평가하여 거시경제적 안정성을 확보한다.
**추가 관련 용어
- 가처분 소득
- 세금 및 기타 공제 항목을 제외하고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소득
- 레버리지 비율
- 자산 대비 부채의 비율로, 가계 또는 금융 기관이 얼마나 많은 부채를 활용하고 있는지를 평가
- 원리금 상환액
- 대출을 받은 사람이 대출금을 갚기 위해 일정 기간마다 지급해야 하는 원금과 이자의 합계액
"꾸준히 하는 것만이 답이다"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금융용어] 7일차_가교은행 (0) | 2025.01.13 |
---|---|
[경제금융용어] 5일차_가계처분가능소득(PDI; Personal Disposable Income) (0) | 2025.01.10 |
[경제금융용어] 4일차_가계신용통계 (0) | 2025.01.09 |
[경제금융용어] 3일차_가계순저축률 (0) | 2025.01.08 |
[경제금융용어] 2일차_가계수지(househole's total income and expenditure) (0) | 2025.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