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99 [Network] OSI Layer 3 - Router 1. 3계층의 핵심 네트워크 장비, 라우터 우리는 이미 같은 네트워크(하나의 LAN)내에서의 통신이 스위치를 통해 이뤄진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렇다면 LAN을 넘어 멀리 떨어진 다른 네트워크에 속한 호스트와의 통신은 어떻게 이뤄질까? LAN 간의 통신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장비가 라우터(Router)이다. LAN 간의 통신에서 패킷은 다양한 경로로 여러 라우터를 거쳐 이동하게 되는데, 여기서 라우팅 프로토콜(Routing Protocol)을 이용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정하여 목적지까지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을 라우팅(Routing)이라고 하며, 라우터와 라우터를 이동하는 하나의 과정을 홉(Hop)이라고 한다. 즉, LAN 간의 통신 과정에서 패킷은 목적지에 닿을 때까지 '여러 홉을 거쳐' '라우팅' 되는.. 2024. 8. 22. [Network] OSI Layer 3(Network) - ARP, ICMP 1. MAC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 ARP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호스트에 패킷을 송신하고자 할 때, 기본적으로는 상대 호스트의 IP주소를 쳐서 보내지만, 패킷을 올바르게 송신하기 위해서는 MAC주소가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상대 호스트의 IP주소는 알지만 MAC주소는 모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이용되는 것이 IP주소를 이용해서 MAC주소를 알아오는 프로토콜, ARP(Address Resolutiom Protocol)이다. 실제로 패킷을 보내보면, IP주소만으로는 찾아가고자 하는 호스트의 직전 라우터까지만 가능하다. 마지막 라우터부터 호스트까지는 LAN이기 때문에 MAC주소를 이용하여 호스트를 찾아가게 되는데, 이 때 ARP가 작동한다. 다음은 ARP의 동작 과정을 살펴보자. ARP.. 2024. 8. 20. [Network] OSI Layer 3(Network) - IP Fragmentation 1. MTU(Maximum Transmission Unit)와 IP 단편화 IP 단편화(Fragmentation)에 대해 이야기 하기 전에 먼저 MTU에 대해 알아보자.MTU란 한번에 전송 가능한 IP 패킷의 최대 크기를 의미한다. 여기서 패킷(Packet)은 L3의 PDU이다. 일반적인 MTU 크기는 1500byte이다. 만약 전송하고자 하는 패킷의 크기가 MTU보다 크다면 패킷은 MTU크기 이하로 나누어져 전송된 후 수신지에서 다시 재조합되는데, 이를 IP 단편화라고 한다. 2. IP 단편화를 피하는 방법, 경로 MTU IP 단편화가 많아져 데이터가 여러 패킷으로 쪼개진다면 자연스레 전송해야할 패킷의 헤더들이 많아지고, 이는 불필요한 트래픽 증가와 대역폭의 낭비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단편화된 .. 2024. 8. 19. [Network] OSI Layer 3(Network) - IP, Subnet Mask 1. Layer 3의 역할OSI Layer 3는 노드 간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을 하며, 최종 목적지 구분을 위한 IP 주소 지정, 최종 목적지로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로 설정(Routing)이 주요 개념으로 작용한다. 이외 3계층 프로토콜로는 ICMP, ARP 등이 있으며, 장비로는 라우터, L3 스위치가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3계층의 핵심 프로토콜 IP에 대해 정리해보겠다. 2. 3계층의 주소체계, IP(Internet Protocol) IP란 전체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특수한 번호 체계로, (공인)IP주소는 고유한 값으로 사용된다. 우리가 사용하는 IP는 IP v4, IP v6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IP 체계는 IP v4로, IP v6의 경우.. 2024. 8. 19. [Network] TP 케이블 제작 및 스위치 연결 실습 실습 목표TP 케이블의 구리선을 직접 배열하여 RJ-45에 연결2대의 PC를 TP케이블을 이용하여 스위치에 연결하고, IP를 설정하여 ping 보내보기 1) TP케이블 제작 및 스위치 연결 (1계층) TP케이블 연결 방식 *direct cable(straight-throught cable) 방식으로 연결서로 다른 종류의 장비끼리 연결할 때(스위치-허브 연결은 제외)568B 568B (구리선의 배열 순서를 나타내는 규칙)*cross-over(cross cable)동일한 유형의 장비끼리 연결할 때(스위치-허브 포함)568B 568A2) shift+R => ncpa.cpl(네트워크 명령어) => Ethernet 속성 => IP v4 => static IP 설정3) 명령창(cmd) 열어서 스위치에 연결한 다.. 2024. 8. 18. [Network] Hub와 Collision Domain 이전 1계층에 대해 정리한 포스트에서 언급한 Hub의 기능, 통신 방식 등을 다시 한번 정리해보자 Hub는 1계층의 네트워크 장비로 LAN을 형성할 때 사용된다. Hub의 특징은 한 노드에서 데이터를 보내면, 같은 허브에 연결된 다른 모든 노드들로 전송받은 데이터를 뿌려버린다(flooding)는 것이다. 데이터를 받은 노드들은 데이터의 목적지 MAC주소와 자신의 MAC주소를 확인한 후, 맞다면 응답 데이터를 전송, 다르다면 폐기한다. Hub는 half-duplex(반이중) 방식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데, 연결된 노드들에서 모두 데이터를 보낼 수 있지만, 스위치에서 사용하는 full-duplex(전이중) 방식과 다르게 동시에 여러 노드에서 패킷을 보내는 것은 불가하다. 한번에 여러 노드에서 데이.. 2024. 8. 18. 이전 1 ··· 13 14 15 16 17 다음